1. 조건문 if문
주어진 조건식이 참인 경우에만 중괄호( {} )안을 실행하는 구문
if ( 조건식 ) 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
- 논리값을 사용할 경우 -> true 혹은 false를 저장하고 있는 변수를 조건으로 지정
const a = true ;
if ( a )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ᅠᅠᅠ-->ᅠᅠᅠa가 true이므로 중괄호 안의 명령이 실행됌
const b = false ;
if ( b )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ᅠᅠᅠ-->ᅠᅠᅠb가 false이므로 중괄호 안의 명령이 실행되지 않음 - 숫자형값을 사용할 경우 -> 0은 false, 0이 아닌 모든 숫자는 true를 반환
const a = 123 ;
if ( a )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ᅠᅠᅠ-->ᅠᅠᅠa가 123(true)이므로 중괄호 안의 명령이 실행됌
const b = 0 ;
if ( b )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ᅠᅠᅠ-->ᅠᅠᅠb가 0(false)이므로 중괄호 안의 명령이 실행되지 않음 - 문자열값을 사용할 경우 -> 빈문자열( "" )은 false, 한 글자라도 포함된 문자열은 true를 반환
const a = "abc" ;
if ( a )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ᅠᅠᅠ-->ᅠᅠᅠa가 "abc"(true)이므로 중괄호 안의 명령이 실행됌
const b = "" ;
if ( b )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ᅠᅠᅠ-->ᅠᅠᅠb가 ""(false)이므로 중괄호 안의 명령이 실행되지 않음
const b = "" ;
if ( !b )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ᅠᅠᅠ-->ᅠᅠᅠb가 ""(false)의 부정은 true이므로 중괄호 안의 명령이 실행됌 - 비교식을 사용할 경우 -> ()안의 식이 참일 경우 중괄호( {} )안의 구문 실행
const a = 100 > 10 ;
if ( a )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ᅠᅠᅠ-->ᅠᅠᅠa의 '100 > 10' 은 true이므로 중괄호 안의 명령이 실행됌
const b = 100 < 10 ;
if ( b )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ᅠᅠᅠ-->ᅠᅠᅠb의 '100 < 10' 은 false이므로 중괄호 안의 명령이 실행되지 않음 - 논리식을 사용할 경우 -> AND( && )_모든 값이 true여야 'true', OR( || )_값이 하나라도 true이면 'true',
const a = true ;
const b = true ;
if ( a && b )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ᅠᅠᅠ-->ᅠᅠᅠif 조건식의 'a && b' 는 true이므로 중괄호 안의 명령이 실행됌
const c = true ;
const d = false ;
if ( c && d )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ᅠᅠᅠ-->ᅠᅠᅠif 조건식의 'a && b' 는 false이므로 중괄호 안의 명령이 실행되지 않음
const x = flase ;
const y = true ;
if ( x || y )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ᅠᅠᅠ-->ᅠᅠᅠif 조건식의 'x || y' 는 false이므로 중괄호 안의 명령이 실행되지 않음
const m = flase ;
if ( !m )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ᅠᅠᅠ-->ᅠᅠᅠflase의 부정은 true이므로 중괄호 안의 명령이 실행됌
const n = true ;
if ( !n )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ᅠᅠᅠ-->ᅠᅠᅠtrue의 부정은 false이므로 중괄호 안의 명령이 실행되지 않음
2. 조건문 if ~ else문
if문은 조건이 참인 경우에만 실행되는데, else구문을 추가해주면 조건이 거짓인 false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을 추가 가능하다.
else문은 반드시 if문 뒤에 위치할 수 있고 독립적으로는 존재할 수 없다.
if ( 조건식 ) 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 else {
ᅠᅠ・・・ 조건이 거짓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
3. 조건문 if ~ else if ~ else문
조건이 거짓인 경우에 수행되는 구문을 여러가지 경우로 추가할 수 있다.
순차적으로 조건을 판별하면서 가장 처음 만나는 '참'인 조건의 블록을 수행하고 종료된다.
if ( 조건식 ) 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 else if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else if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else if{
ᅠᅠ・・・ 조건이 참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
ᅠᅠᅠᅠᅠᅠᅠᅠᅠ・
ᅠᅠᅠᅠᅠᅠᅠᅠᅠ・
ᅠᅠᅠᅠᅠᅠᅠᅠᅠ・
else {
ᅠᅠ・・・ 조건이 거짓인 경우에 실행할 명령 ・・・
}
4. 조건문 switch문
하나의 변수나 수식에 대한 여러가지 경우의 수를 나열하는 방식으로 조건에 맞는
'case'블록부터 'break'키워드를 만날 때까지 실행된다.
'defalut'는 모든 케이스를 충족하지 않을 경우 실행되며, 생략이 가능하다.
변수 = 값 초기화 ;
switch (변수) {
ᅠᅠcase 1 :
ᅠᅠᅠᅠᅠᅠᅠᅠᅠ・・・ case 1가 참일때 실행할 명령 ・・・
ᅠᅠᅠᅠᅠᅠᅠᅠᅠbreak;
ᅠᅠcase 2 :
ᅠᅠᅠᅠᅠᅠᅠᅠᅠ・・・ case 2가 참일때 실행할 명령 ・・・
ᅠᅠᅠᅠᅠᅠᅠᅠᅠbreak;
ᅠᅠcase 3 :
ᅠᅠᅠᅠᅠᅠᅠᅠᅠ・・・ case 3가 참일때 실행할 명령 ・・・
ᅠᅠᅠᅠᅠᅠᅠᅠᅠbreak;
ᅠᅠdefault :
ᅠᅠᅠᅠᅠᅠᅠᅠᅠ・・・ 모든 케이스가 거짓일때 실행할 명령 ・・・
ᅠᅠᅠᅠᅠᅠᅠᅠᅠbreak;
ᅠᅠᅠᅠᅠᅠᅠᅠᅠ・
ᅠᅠᅠᅠᅠᅠᅠᅠᅠ・
ᅠᅠᅠᅠᅠᅠᅠᅠᅠ・
ᅠᅠᅠᅠᅠᅠᅠᅠᅠ・
}
- 만약 break를 기입하지 않는다면 중간 정지표시가 없기 때문에 아래 블록까지 함께 실행된다.
(값이 2개 이상 생기게 됌) _ 필요에따라 의도적으로 조절하면 된다. - 마지막의 default는 모든 케이스를 충족하지 않을 경우 실행되며 필요없다면 생략 가능하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