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Javascript/8. 함수

함수 _

반응형

1.   함수란?

하나의 키워드에 프로그램 로직을 함축한 형태이다.
명령어를 만드는 과정으로 만들어진 명령어는 여러 번 재사용이 가능하다.

 

 

2.   함수의 개요

  1. 함수 정의
    " function" 이라는 키워드를 명시하고 함수의 이름을 지정한 후 괄호를 명시
    그 뒤 구문을 그룹화하기 위한 블록 ( { } )을 가진다.
    ᅠᅠᅠᅠfunction 함수 이름 ( ) {
    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・・・・ 명령어 ・・・・
    ᅠᅠᅠᅠ}

  2. 함수 호출
    반드시 정의된 함수를 실행시키는 명령을 내려야 한다.

    이를 ' 함수 호출 ' 이라 한다.
    ᅠᅠᅠᅠ함수 이름 ( ) ;

  3. 함수 이름 규칙
    변수와 동일하게
    영어와 숫자, 언더바( _ )의 조합으로 구성한다.
    첫글자는 소문자로 시작하며 카멜표기법( myName )으로 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.

함수 정의, 함수 호출, 함수 재사용

 

 

 

3.   수학적 접근

일반적인 수학의 함수는 하나의 수식을 대변하는 특정 키워드를 의미한다.

f( x ) = x + 1 ;
" f "라는 키워드로 " x+1 "이라는 수식을 재사용할 수 있다.
ᅠᅠᅠ>>ᅠf( 10 ) = 10 + 1 = 11
ᅠᅠᅠ>>ᅠf( 20 ) = 20 + 1 = 21

함수의 수학적 접근

 

 

 

4.   필요한 조건값

  1. 수학에서의 의미

    f( x ) = x + 1 ;
    ᅠᅠᅠ-->ᅠ함수 f( x )가 수행되는 데에 필요한 조건값 x를 가진다.
    ᅠᅠᅠᅠᅠᅠᅠ이 때의 ' x '를 매개변수 혹은 파라미터라고 칭한다.

  2. 프로그램에서의 의미

    < 파라미터 정의 >
    ᅠᅠᅠᅠfunction 함수이름( 파라미터 ) {
    ᅠᅠᅠᅠᅠᅠᅠᅠ・・・・ᅠ파라미터를 활용한 프로그램 명령ᅠ・・・・
    ᅠᅠᅠᅠ}
    프로그램의 함수도 실행하는데 필요한 조건값을 함수 정의 과정에서
    괄호 안에 명시할 수 있으며, 괄호 안의 값을 파라미터라고 부른다.


    < 파라미터를 전달하는 함수 호출 >
    ᅠᅠᅠᅠ함수 이름( ) ;
    ᅠᅠᅠᅠ파라미터가 정의된 함수를 호출할 경우 괄호 안에 조건에 맞는 값을 전달

 

 

5.   다중 파라미터

필요한 조건 값이 여러 개인 경우 콤마로 구분하여 나열한다.
정의된 파라미터들은 원칙적으로 함수 호출 시 해당 값들을 전달해야 한다.

ᅠᅠᅠ< 다중 파라미터 정의 >
프로그램의 함수도 자신이 실행하는데 필요한 조건값을 괄호 안에 명시하며,
값을 여러 개를 정의할 때에 콤마로 구분하여 나열한다.
ᅠᅠᅠᅠfunction 함수 이름( 파라미터 1, 파라미터 2, ・・・ 파라미터 n ) {
ᅠᅠᅠᅠᅠᅠᅠᅠ・・・・ᅠ파라미터를 활용한 프로그램 명령ᅠ・・・・
ᅠᅠᅠᅠ}


ᅠᅠᅠ< 다중 파라미터를 갖는 함수 호출 >
파라미터가 여러 개인 경우 함수 호출 시 정의되어 있는 순서대로 값을 전달해야 한다.
ᅠᅠᅠᅠ함수 이름(값 1, 값 2, ・・・ 값 n ) ;

 

 

6.   파라미터 생략 / 기본값 정의

함수 호출 시 필요 없는 파라미터 값은 마지막 파라미터부터 순차적으로 생략 가능하다.
값이 전달되지 않은 파라미터는 undefined

값이 전달되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여 파라미터에 기본값을 설정하는 것이다.

ᅠᅠᅠfunction 함수 이름( 파라미터 1 = 기본값 1 , 파라미터 2 = 기본값 2 , ・・・ , 파라미터 n = 기본값 n ) {
ᅠᅠᅠᅠᅠᅠᅠ・・・・
ᅠᅠᅠ}

함수의 파라미터 생략, 파라미터의 기본값 설정

 

 

 

7.   리턴 return

함수가 만들어낸 결괏값을 함수를 호출한 위치로 돌려주는 것이다.

ᅠᅠᅠ< 결과값을 리턴하는 함수 정의 >
함수를 구성하는 블록 ( { } ) 안에서 return을 사용하여 값을 전달한다.
ᅠᅠᅠᅠfunction 함수 이름 ( 파라미터 1, 파라미터 n ・・・ ) {
ᅠᅠᅠᅠᅠᅠᅠᅠ・・・・ᅠ파라미터를 활용한 프로그램 명령ᅠ・・・・
ᅠᅠᅠᅠᅠᅠᅠᅠreturn 돌려줄 값 ;
ᅠᅠᅠᅠ}

 

ᅠᅠᅠ< 새로운 수식 구성 >
return 값을 갖는 함수는 그 결과를 다른 변수에 대입할 수 있다.
ᅠᅠᅠᅠconst 변수 = 100 + 함수 이름( 파라미터 1, 파라미터 n ・・・ ) ;
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➥ return 값

결과값 return

 



ᅠᅠᅠ< 다른 변수에 할당 - 익명 함수 >
return 값을 갖는 함수는 그 결과를 다른 변수에 대입할 수 있다.
ᅠᅠᅠᅠconst 변수 = 함수 이름( 파라미터 1, 파라미터 n ・・・ ) ;
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➥ return 값

변수에 함수를 할당하기

 

ᅠᅠᅠ< 조건문으로 활용 >
return 값과 비교식을 구성하여 조건문으로 사용할 수 있다.
ᅠᅠᅠᅠif ( 함수 이름( 파라미터 1, 파라미터 n ・・・ ) > 0 ) {
ᅠᅠᅠᅠᅠᅠᅠᅠ・・・・ᅠᅠᅠᅠ
➥ return 값
ᅠᅠᅠᅠ
}

 

ᅠᅠᅠ< 논리 값을 리턴하는 함수의 조건문 활용 >
return 값이 논리 값( true / false )이라면 그 자체를 조건문으로 사용할 수 있다.
ᅠᅠᅠᅠif ( 함수 이름( 파라미터 1, 파라미터 n ・・・ ) ) {
ᅠᅠᅠᅠᅠᅠᅠᅠ・・・・ᅠᅠᅠᅠ
함수의 return 값이 true인 경우 실행
ᅠᅠᅠᅠ}

ᅠᅠᅠᅠif ( ! 함수 이름( 파라미터 1, 파라미터 n ・・・)) {
ᅠᅠᅠᅠᅠᅠᅠᅠ・・・・ᅠᅠᅠᅠ
함수의 return 값이 false인 경우 실행
ᅠᅠᅠᅠ
}

return값을 조건문으로 활용, return 논리값 출력

 

ᅠᅠᅠ< 반복문 활용 >
return 값을 활용하여 반복문으로 사용할 수 있다.
ᅠᅠᅠᅠfor ( let i = 0; i < 함수 이름( 파라미터 1, 파라미터 n ・・・ ); i++ ) {
ᅠᅠᅠᅠ・・・ 반복적으로 실행될 구문 ・・・・ᅠᅠᅠᅠ
➥ return 값
ᅠᅠᅠᅠ}

return값을 반복문으로 활용

반응형

'Javascript > 8. 함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익명 함수, 화살표 함수, 콜백 함수  (0) 2022.12.0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