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. 익명 함수 _ Anonymous Function
함수 자체를 다른 변수에 참조시킬 목적으로 함수를 정의할 때이름 없이 정의하는 함수이다.
함수 정의 형태가 대입문이기 때문에 중괄호 뒤에는 세미콜론( ; ) 작성
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_ 기입하지 않아도 오류가 나지는 않지만 최대한 작성할 것
const 변수 = function (ᅠ・・・ᅠ) {
ᅠᅠᅠᅠ・・・
} ;
원래는 function 뒤에 함수 이름을 작성하지만, 익명 함수에서는 이름이 없다.
★ 선언하는 변수에 함수를 대입 ( 익명 함수 )
★ 파라미터에 함수를 대입 ( 콜백 함수 )
★ 선언하는 변수에 함수를 대입 ( 클로저 )
2. 화살표 함수 _ Arrow Function
익명 함수 문법을 축약하여 사용하는 함수 형태이다.
< 익명 함수 > |
< 화살표 함수 > | |
const 변수 = function( 파라미터 n ・・・ ) { 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・・・ 처리 로직 ・・・ } ; |
= | const 변수 = ( 파라미터 n ・・・ ) => { 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ᅠ・・・ 처리 로직 ・・・ } ; |
function 키워드가 생략되고, 파라미터를 전달하기 위한 소괄호와 블록을 구성하기 위한 중괄호 사이에
" => " 기호가 추가된다.
- 만약 파라미터가 하나일 경우 파라미터를 감싸는 소괄호도 생략 가능
두 개 이상인 경우에는 생략 불가
ᅠᅠᅠᅠconst 변수 = ( 파라미터 ) => {
ᅠᅠᅠᅠ・・・ 처리 로직 ・・・
ᅠᅠᅠᅠ} - 처리 로직이 한 줄인 경우(return 구문이 한 줄)에는 return과 중괄호까지 생략 가능
ᅠᅠᅠᅠconst 변수 = 파라미터 => { 리턴 값
ᅠᅠᅠᅠ・・・ 처리 로직 ・・・
ᅠᅠᅠᅠ}
3. 콜백 함수
파라미터로 전달되기 위해 사용하는 함수이다.
어떤 함수가 동작하는 과정 중 일부는 다르게 처리되어야 할 경우에 그 부분을 함수 형태로 묶어 파라미터로 설정
ᅠᅠᅠ1. 직접 함수 정의
ᅠᅠᅠ2. 익명 함수 형태로 전달
ᅠᅠᅠ3. 익명 함수를 화살표 함수로 전달
반응형
'Javascript > 8. 함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함수 _ (0) | 2022.12.04 |
---|